1 minute read

클라우드 기원과 원동력

간단한 역사

  • 2002년: AWS플랫폼 시작
  • 2006년: cloud computing 용어가 상업 분야에서 등장
  • 2009년: Google App Engine

현재 아마존이 월등한 1등으로 클라우드 시장 점유(32%~)

Cloud Computing 정의

  • 가트너 리포트: 확장가능(scaleable)하고 탄력적인 IT-enabled capabilities을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외부 고객에게 서비스로 제공되는 computing 기법
    • 데이터 센터에 물리적으로 접근하는게 아님
  • Forrester Research: 인터넷 기술을 통해 a pay-per-use(사용한 만큼 지불), self-service way으로 제공되는 표준화된 IT capability (services, software, Infrastructure)
  • NIST: 최소한의 관리 노력, 신속하게 프로비저닝 및 출시 할 수 있는 컴퓨팅 리소스에 on-demand 네트워크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모델
  • Other: 확장 가능, 측정된 리소스를 원격으로 프로비저닝 하기 위한 모델을 도입하는 전문화된 형태의 distributed computing

Cloud Computing 필요성

  1. 인프라 용량을 능가하는 고속 비즈니스 성장
  2. 기존 인프라의 한계
    1. 낮은 활용도
    2. 느린 응답 시간
    3. 기존 인프라를 능가하는 대량의 데이터
    4. HW는 노후화됨
  3. 높은 컴퓨팅 인프라 비용
  4. 분산된 사용자 집단(모바일 등)
  • 사용 예: 온라인 쇼핑몰, SNS, 게임, 인공지능, OTT(넷플릭스)

사업적 동인

: Cloud Business가 성공하게 되는 요인 -> 골치아픈건 다 늬들이 해줘.

1. Capacity Planning(용량 계획)

조직의 IT 리소스,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미래의 요구를 예측하고 충족시키는 프로세스. 불일치를 최소화하는데 초점

  • 예측이 맞지 않는 경우 over-privisioning(자원의 낭비) 또는 under-provisioning(사용자 요구 충족 x) 초래

    Capacity Planning 전략

    1. 선두전략: IT자원 사용량 예측 최대치로 세팅(낭비 발생)
    2. 지연전략: IT 리소스 사용량이 최대치에 도달할 때 용량 추가
    3. 사상전략: 수요 증가에 따라 IT 리소스 용량을 조금씩 추가

2. Cost Reduction(비용절감)

인프라의 구축 비용에 따라 환경 운영이 제한되기 때문에 인프라가 중요한데, 이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들음. (하드웨어의 성능은 설치/구매 시 최대 용량/성능이 제한 되어있음)

  • 유지비용 요소: 운녕에 필요한 기술 인력, 전력 및 냉각, 인프라 및 리소스 보호 유지…

3. Organizational Agility (조직의 민첩성)

기업은 내부적, 외부적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응/적응하는 능력 필요

기술 혁신

: 클라우드 컴퓨팅에 영향을 미친 기존 기술들

1. Clustering

Cluster는 동일한 하드웨어가 상호 연결되고 단일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독립적인 IT리소스 그룹.

  • 서버 하나를 사고, 필요하면 하나 더 구비하여 이어붙임.(by 네트워크)
  • 동일한 하드웨어 운영체제 필요
  • Cluster 내부는 동기화 상태 유지

2. Grid Computing

컴퓨팅 리소스가 하나 이상의 logical pools로 구성되는 플랫폼 제공

  • 느슨하게 결합, 분리
  • 이기종 및 지리적으로 분산된 컴퓨팅 리소스가 포함될 수 있음

3. Virtualization

IT 리소스의 가상 인스턴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기술 플랫폼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
  • SW-HW 종속성 제거(Mac에서 안드로이드 폰 띄우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