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4-4] 클라우드 배포 모델
Cloud Deployment Models
클라우드 환경의 특정 타입. 소유주, 사이즈, 접근 등에 따라 구분.
1. Public Cloud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 ID, PW만 알면 접근할 수 있음
- 구글, 아마존 등등
-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할 경우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기타 지원 인프라를 클라우드 공급자가 소유하고 관리
- 클라우드 제공자를 여러 조직이 공유
이해가 잘 안되네
2. Community Clouds
퍼블릭 클라우드와 유사한데, 접근 권한이 특정 조직에 한정되어 있음
- 허가된 여러 조직이 다 같이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 ex) 의료 데이터 클라우드: 삼성병원, 삼성병원에 주사기를 납품하는 회사 -> 동일한 클라우드 사용
3. Private Cloud
단일조직이 소유한 클라우드, 단일 비즈니스 또는 조직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로 구성
- 서비스와 인프라가 항상 프라이빗 네트워크에서 유지 관리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조직에서만 전용으로 사용
- ex) 정부데이터, 국민데이터
온프레미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차이
- 공통점: 단일 조직이 소유
- 차이점: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클라우드의 개념이 추가
4. Hybrid Clouds
여러 클라우드 배포 모델을 섞은 클라우드 모델
- ex)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개발 진행, 개발 후 릴리즈는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