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inute read

클라우드 인프라

논리 네트워크 경계

클라우드 기반의 IT자원 그룹을 포함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 경계를 구성함

  •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설정(가상 방화벽, 가상 네트워크)
  • VPN을 통해 연결됨(데이터 패킷 암호화)

사용목적

  1.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비사용자/클라우드 소비자로부터 클라우드 내 IT 자원 격리
  2. 분리된 IT자원에 대한 대영폭 제어

가상 서버

동일 물리적 서버를 여러 클라우드 소비자가 공유

  • 물리적 서버를 에뮬레이트하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가상화 특징

  1. 자원 분할: 하나의 HW를 여러개의 가상서버가 사용
  2. 독립성: 각각의 가상서버는 서로 침범 X
  3. 이동성: 물리서버를 쉽게 갈아탈 수 있음(로드 멜런싱, 재구성에 효율적)

스토리지

클라우드 기반 프로비저닝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스토리지 장치

  • 사용량당 과금 메커니즘 -> 고정 할당량 제공
  • 원격 접근 가능

클라우드 스토리지 수준

  • 데이터 스토리지의 논리적 단위를 제공
    • 파일 - 데이터 모음
    • 블록 - 스토리지의 가장 낮은 수준(HW에 가깝),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
    • 데이터세트 - 데이터베이스
    • 오브젝트 - 데이터 + 메타데이터 -> 웹기반의 자원으로 구성

~스토리지 임(파일 스토리지, 데이터세트 스토리지, …)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 네트워크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 오브젝트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 기본 스토리지 작업 외에도 쿼리 언어 지원
  • 관계형 데이터 스토리지 - 테이블 기반
  • 비관계형 데이터 스토리지 - RDB의 복잡성과 처리 오버헤드 피함. 독점적 -> 데이터 이동성 제어

관리 인프라

자원 복제

동일 IT자원의 다중 인스턴스 생성

  • IT 리소스의 가용성과 성능을 향샹시켜야 할 때 수행
  •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로드벨런싱이 필요

자원복제 장점

  1. 확장성
  2. 자동화
  3. 유연성
  4. 재복구

자원복제 단점

  1. 비용 증가
  2. 복잡성 증가
  3. 데이터 일관성 유지 필요
  • 기존에 만들어진 환경? » Pa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