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inute read

9월 4일 (월)

  • 14:00~17:00 3시간

장고 공식 튜토리얼 강의를 보던 것을 마저 보았다. 지금까지는 파일의 구조를 파악하고, model, view 설계 등을 하였다. 기존에 작성했던 template 폴더의 작성을 마치고, CSS를 추가했다. 이후 기존에 만들었던 각 객체에 대해서 관리자 페이지를 만들어 개발자가 커스터마이징 할수 있게 만들었다. 이후 개발자 로그인 페이지의 html 파일을 불러들여와 이를 커스터마이징 했다.

9월 5일 (화)

  • 21:00~00:00 3시간

기존에 보던 장고 강의를 마무리하고, 우리가 개발할 프로젝트에서 프론트의 플러터와 백엔드의 장고를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이의 연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새로운 강의를 수강하기 시작했다. 나는 백엔드 담당이지만 플러터의 파일 구조나 기본적인 것들까지 파악하기 위해 플러터를 설치하고 강의를 따라하면서 플러터를 우선 파악 중이다. 또한 iOS 시뮬레이터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하여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만들어 실행시켜보았다. 현재는 플러터 강의를 보는 중에 강의와 나의 개발 환경에서 버전 오류가 나서 오류를 고치고 있는 중이다. 간단한 수준에서의 플러터 공부는 하루 이틀 내에 끝내고 장고 백엔드 API 서버를 만들고, 플러터와 장고를 연동해 볼 예정이다.

9월 6일 (수)

  • 15:00~19:00 4시간

진행중이던 플러터 개발을 마무리하였다. 이후 장고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quiz앱을 생성하였다. 프로젝트를 위해 settings.py파일을 수정하고 해당 과정에서 필요한 모델들을 다운받았다. 간단하게 API의 동작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helloAPI API를 생성하였다. view파일을 작성하고, 이를 실행시키기 위해 url파일을 작성하였다. 또한 앱의 url을 설정했으니 전체 프로젝트에 현재 url을 설정하고, JSON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시리얼라이저를 생성하였다. 이후 로컬에 접속하여 API를 통해 JSON 형태로 데이터가 불러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9월 7일 (목)

  • 00:00~04:00 4시간

완성한 장고 프로젝트를 서버에 배포하기 위해 Heroku등 여러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탐색하였다. 여러 플랫폼에 가입을 하는 등 여러 시도를 하였지만 불행히도 대부분의 플랫폼이 유료라 배포에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배포하는 과정을 파악하고, 배포된 데이터를 Flutter 프로젝트에서 API로 가져와 Flutter로 구현한 UI 화면에 데이터를 불러들이는 과정까지 파악하였다.

9월 9일 (토)

  • 00:00~02:00 2시간

기존에 보던 강의를 다 본 관계로 다른 장고 강의를 찾아보았다. 또한 팀원들과 얘기를 하던 도중 프로젝트에 변경 사항이 있어 Figma를 수정하고, 프로젝트 계획서를 수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