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주차] 활동 일지
10월 2일 (월)
DB 스키마 구상 시작
- 00:00~02:00 2시간
DB 스키마 구상을 시작하였다. 우선 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User 테이블, 각 유저의 개인 피드 게시글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는 Posting 테이블, 그리고 관리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Admin 테이블을 구상하였다. 추후 ML에서의 이미지 전달 방법에 따라 명화필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Painting 테이블을 구상할 예정이다. 또한 회원과 관리자를 하나의 테이블에 저장하고 권한만 다르게 할지 아니면 지금 구상한 것 처럼 아예 테이블로 분리할지는 추가로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10월 4일 (수)
- 21:00~00:00 3시간
장고 REST Framework에 대한 추가 학습이 필요하여 동영상 강의를 학습하였다. 강의 수강을 통해 우리가 수행해야 할 프로젝트의 백앤드 개발 방향과 계획을 구체화하고, url 패턴에 대해서도 구상하였다.
10월 5일 (목)
- 20:00~23:00 3시간
전날 봤던 동영상 강의를 이어서 학습하였다. 장고와 플러터의 연동 방법에 대해 학습하였는데, 이전에 봤던 강의에서는 장고와 플러터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배포를 우선 하였는데, 이번 강의에서는 배포를 하지 않고 플러터에서 장고의 로컬 서버 주소와 연결하고, drf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였다. ML에 대해서도 로컬에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동이 혹시 되는지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
10월 6일 (금)
API명세 구상 시작
- 11:00~14:00 3시간
DB, API의 본격적인 구상을 시작하였고, 프로젝트의 레포지토리를 파서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백엔드의 세팅을 완료하였다. 또한 교수님과의 중간미팅을 진행하여 각 파트 별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해 피드백을 받았다. 소셜 로그인 구현에 대해서도 피드백을 받았는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칼럼 값에 대해 조금 더 알아봐야 할 것 같다.
10월 6일 (토)
(학습) Google 소셜 로그인 구현
- 09:00~11:00 3시간
기존에 개인적으로 진행하던 장고 프로젝트에서 Google 소셜 로그인 기눙을 구현하여 추가하였다. 소셜 로그인 구현을 위한 allauth 패키지를 설치하고, settings.py 파일을 수정함으로써 소셜 로그인 구현을 위한 준비를 하였다. Google Developers에서 client id, secret key를 받아와 성공적으로 구현하였다. 이건 웹으로 구현을 한 것이었는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구현 방법을 알아봐야 할 것 같다.